공공급식 ‘인구 변화…중장기 전략 필요’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0-05-21 09:09:19

KREI ‘식재료 공급실태와 개선과제’ 연구서 밝혀

인구 규모 및 구조 변화를 감안한 공공급식 중장기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우리나라는 2028년을 정점으로 인구감소가 예상되는 한편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영유아 학령기 인구감소, 고령인구 비중 증가 등 인구구조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14일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 실태와 개선과제’연구를 통해 공공급식과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역 푸드시스템을 기반으로 공공급식에 양질의 식재료를 안정적 체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연구진이 식재료 공급실태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민간 공급업체 40개 업체와 공공급식지원센터 10개소를 대상으로 설문 및 사례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교의 경우 학교급식지원센터를 통한 식재료 공급이 주요 식재료 공급 경로로 자리 잡고 있었다.

한편, 공공급식지원센터는 최근 지역푸드플랜 수립과 함께 공공급식 기관 시설의 지역산 식재료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별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일부 지역에서 주로 어린이집 유치원, 일부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식재료를 공급하는 등 공공급식 전반에서 주요한 급식 식재료 공급 경로로 자리 잡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어린이집 유치원 350개소, 사회복지시설 200개소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어린이집 유치원, 사회복지시설 대부분이 직영으로 시설 내에서 단독으로 급식을 조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치원의 경우 공동조리 비중이 27.4%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들 시설의 경우 소속 초등학교와 급식이 연계해 이루어져 향후 식재료 공급 체계 개선에 있어 특수성을 고려해야 하며, 사회복지시설 중에서 노인시설의 급식단가가 가장 낮았고, 아동 청소년 시설이 가장 높았다.

연구책임자인 황윤재 연구위원은 “공공급식 식재료 공급 개선을 위해서는 공공급식에 대한 균형적 관점을 견지하고, 대상의 차별성 반영과 중장기 수요 변화를 고려한 정책 접근과, 연계 협력을 통한 효과적 정책추진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