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후체제 대응 ‘기후변화 기술개발’ 필요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19-07-31 10:19:49

KREI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 연구’ 통해 밝혀

저탄소 농업 전환,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 기술개발 등을 위해 국가적인 관점에서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종합적 활동계획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이 최근 발간한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 연구에서 나왔다.

이 연구는 신기후체제 이행에 따른 경제적 효과 및 기후변화 대응수단의 수용의향과 애로사항을 분석하고, 기후변화 완화‧적응 로드맵 및 농축산식품부문의 대응전략을 제시했다.

연구원이 신기후체제하 기후변화 대응수단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 감축수단별 정책목표가 충족되는 경우 GDP가 0.035~0.046% 감소했다.

이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경제성장과 상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술개발 등 GDP 감소폭을 완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감축기술과 적응기술 수단 도입에 있어서 상충 관계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양 정책의 독립적인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농축산식품부문의 신기후체제 대응 비전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신기후체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농축산식품부문’으로 설정했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분야의 대응목표는 ‘농축산분야 온실가스 265만 톤 감축’, 적응분야의 목표는 ‘안정적 식량 공급을 위한 적응능력 강화’로 정했다.

무엇보다 신기후체제에 대응해 농축산식품분야에서는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농업에서 저탄소 농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화석연료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지열, 목재펠릿 등 신재생에너지와 청정에너지를 제시했다.

연구진은 기후변화의 리스크는 농축산분야에 분명 위기가 될 수 있지만,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고, 적응기술을 개발하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경제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기존의 관행기술보다 나은 기술을 개발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