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종 삼을 이용한 생물 검정
모종 삼을 이용한 생물 검정
지역별 채집토양의 인삼뿌리썩음병원균 억제능력 검정
지역별 채집토양의 인삼뿌리썩음병원균 억제능력 검정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모종 삼(묘삼)을 이용해 토양의 인삼뿌리썩음병 발생 여부와 뿌리썩음병원균 억제 능력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인삼의 주요 토양병인 인삼뿌리썩음병은 특정 토양에서 억제되는 경향이 있고, 뿌리썩음병원균 밀도는 높지만 병이 덜 나는 토양을 ‘억제 토양’이라고 한다. 그간 병에 강한 토양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알려졌지만, 인삼재배 토양을 대상으로 억제 토양을 찾는 방법은 없었다.
농촌진흥청은 인삼뿌리썩음병의 발생 환경과 원인을 분석하고, 병 발생을 낮추고자 억제 토양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는 생물 검정법을 개발했다. 생물 검정법이란 병원균에 의한 발병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식물체에 병원균을 접종한 후 병이 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투명 아크릴로 만든 재배틀(포트)을 준비해 한 곳에는 ‘병원균 토양(대조구)’, 다른 하나에는 ‘병원균 토양과 억제 토양을 혼합한 토양’을 넣고 각각에 모종 삼을 심은 뒤 4주 후 뿌리썩음병 발병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억제 토양을 넣은 재배틀의 병균 밀도는 대조구의 100분의 1 수준이었고, 병 발생 지수(이병지수)는 대조구의 절반 이하로 나타났다.
이번 실험에서는 병 발생 지수 감소가 억제 토양의 영향인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도 진행했다. 억제 토양의 균을 죽이고 다시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대조구와 비슷한 병 발생 지수가 나타났다. 이로써 억제 토양의 병원균 억제 원인이 미생물 등 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인삼 연구기관과 도 농업기술원 등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면, 뿌리썩음병 발생 상태와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 등을 비교할 수 있다.
억제 토양으로 추정되는 흙 아래 위에 일반 흙을 약간 깔고 모종 삼을 심어 4주 후 토양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병원균 접종 토양보다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가 줄고, 병 발생 지수가 감소했다면 뿌리썩음병 억제 토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동휘 인삼과장은 “이번 기술을 인삼뿌리썩음병의 억제 원인을 밝히고 ‘억제 토양’을 탐색하는 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