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우 160마리가 초지로 방목되고 있다. (사진=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제공)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우 160마리가 초지로 방목되고 있다. (사진=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제공)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 이하 축평원)이 올 하반기 농축산 업자들을 대상으로 공공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이른바 '축산업통합정보시스템'의 전면 개편에 나선다.

지난 2021년 처음 도입된 축산업통합정보시스템은 축산 사업자가 축산관련 공공 데이터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편의성 제도다. 축산분야 허가‧이력‧방역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들이 이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 제도는 그간 실사용자인 축산농가가 아닌 지자체 공무원 등 업무 담당자 위주로 운영돼 온 것이 사실이다. 사업자의 경우 관련 공기관에 축산업(농장) 정보를 등록했음에도 정작 관련 정보를 확인, 출력하기 위해서는 담당 기관의 전산망에 접속해 일일이 내려받아야 하는 수고가 뒤따랐다. 또 온라인에 익숙치 않은 고령자들의 경우 담당 기관에 직접 방문해 서면으로 관련 정보를 수령해야 하는 불편함이 엄존했다. 

이렇다 보니 축산업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축산업통합정보시스템의 실효성과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랐고, 축평원은 현장에서 제시된 개선점을 수렴해 이번 제도 개편으로 반영하게 된 것.

따라서 축평원은 이번 시스템 개편에서 실사용자인 축산업 종사자들의 정보 확인 편의성을 대폭 높이는 데 방점을 뒀다. 

우선 축산 사업자가 스마트폰으로 농가용 앱(app)에 접속하면 ▲가축 사육시설 및 사육현황 ▲등급‧이력정보 ▲인근 가축질병 및 방역 정보 ▲폭염날씨 정보 등 여러 유관기관의 데이터가 통합 반영된 농장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간편한 앱 사용으로 정보 접근성을 대폭 높인 것.

이와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 암소 비육지원 등 정부지원 사업에 대한 정보도 스마트폰으로 알림을 받도록 개선한다. 그간 일반 농가의 경우 정부지원 사업에 대한 정보를 취득, 신청하려면 담당 기관에 직접 방문해 상담하고 서류 절차를 거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축평원은 이같은 불펴함을 해소하기 위해 사업자 개인 스마트폰으로 정부의 각종 지원사업 예고 및 경과에 대한 정보를 직접 전달토록 했다.    

강원도 횡성군 소재의 한 축산농가를 운영 중인 사업자는 <농축환경신문>과의 취재에서 "정부 지원사업에 신청하려면 관할 축협까지 직접 가서 각종 서류를 제출해야 하고, 무엇보다 지원사업이 진행된다는 사전 고지도 받기가 어렵다"라며 "핸드폰으로 정보 전달과 행정 처리가 간편하게 이뤄진다면 정부와 축산농업계가 공생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축평원의 이번 제도 개편에 화색을 보였다.

박병홍 축평원 원장은 이번 시스템 개편과 관련,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축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큰 화두가 되고 있다"며 "최근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비전을 선포한 만큼 축평원은 축산분야 데이터 중심기관으로서 축산업 통합정보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고 축산업계 종사자의 편의가 높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정보 전달이나 행정 처리 수순이 상용화된다고 해도, 디지털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은 사각지대에 존치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축산업계 한 관계자는 "축평원의 이번 시스템 개편은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라며 "축산업은 전염병 발발 등 재해 소식이나 날씨 정보에서 뒤처지게 되면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분야다. 정보 접근성이 높아지면 업계 종사자들의 사업 안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스마트폰 사용이 불편한 고령층 사업자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저작권자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