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농업기술원은 전남도의 대표적 지역특화작목인 양파의 생육시기별 영양·기능성 성분을 찾아내고 이에 적합한 가공기술을 개발해 과잉생산에 대비하겠다고 30일 밝혔다.
양파는 주요 식자재일 뿐만 아니라 쿼세틴 등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약 60∼1,000㎎/㎏ 함유하고 있어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 항산화 활성 등 면역력에 좋은 채소이다.
그러나 양파는 작황에 따라 가격의 등락 폭이 커서 재배 농민들의 소득 불안정은 물론 산지에서 갈아엎는 등 과잉생산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수확 직후 대부분 원물로 유통·소비되고 있어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전남농업기술원은 폐기 처리하는 양파의 활용은 물론, 수급조절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찾아 발표했다.
기술내용은 잎을 포함한 전체 양파 식물체로부터 영양·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4월 하순경 생육중인 양파는 대파보다 칼슘 3배, 비타민C 1.3배, 총엽록소 2.1배로 영양성분이 우수했다.
특히 5월 하순경 양파는 총플라보노이드화합물과 총페놀화합물이 6월경에 수확한 양파보다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잉생산이 예측될 경우 일정 면적을 폐기하는 대신 목적에 맞게 시기별로 통째로 수확해 기능성물질 등을 추출, 이용한다면 농가소득은 물론 양파 가격안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농업기술원은 기능성 성분이 우수한 5월 하순 양파로부터 추출한 소재를 이용해 누구나 쉽게 먹을 수 있도록 젤리를 개발중에 있으며 곧 선보일 예정이다.
이진우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장은 “양파즙에 국한되어 있는 가공제품을 다양화하고, 도내 가공업체에 기술이전을 통해 양파 소비 촉진과 농가소득 안정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