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올해 봄철 산불조심기간(2.1.~5.15.)이 공고됨에 따라 ‘산불’로 인한 산림피해 최소화를 위해 산불방지대책본부를 2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기후변화로 인해 극심한 가뭄, 건조한 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에 관내(서울ㆍ경기, 강원 영서지역) 산불 발생건수의 71%, 산불피해면적의 69%가 봄철(2~5월)에 발생하였다.
또한 산불 주요 원인으로는 입산자 실화가 24%, 논밭두렁 소각과 폐기물 소각 등 소각산불이 16%를 차지하였으며, 산불 발생의 절반 이상인 66%가 사람들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산불이었다.
북부지방산림청은 지방청과 소속 6개 국유림관리소에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 24시간 산불상황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산불위험 수준에 따라 대응 태세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산불예방ㆍ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기반시설 조성에 10억을 투입하고, 산불진화인력 408명 및 드론 산불예찰단(6개단)을 운영,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 역할 강화를 위한 재난안전통신망 전용 단말기(7대)를 산불지휘차에 탑재하여 통신망을 일원화하는 등 모든 자원과 방법을 총동원하여 산불방지 대응 태세를 구축하였다.
주요 기반시설은 산불 진화인력 근무여건 개선과 산불재난 대응태세 확립을 위한 ‘산불대응센터’ 1개소(4억) 추가하여 총 5개소, 대규모 인명ㆍ재산 보호를 위한 ‘산불소화시설’ 3개소(5억) 추가하여 총 18개소를 조성ㆍ관리할 계획이다.
산불진화인력 408명은 ‘산불재난 특수진화대’ 97명과 ‘산불전문예방 진화대’ 311명으로 구성되며, 불법 소각행위 상시 예찰과 야간산불 열 영상 촬영을 통해 산불 대응체계 강화하기 위하여 드론 산불예찰단을 6개단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