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청장 박종호)은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 조성공사를 국토교통부의 ‘지능형(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한 ‘기본설계 기술 제안’ 입찰방식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이 추진하는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 조성사업이 지난 7월 15일 대형공사 입찰방법 결정을 위한 국토교통부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소위원회(5차)에서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은 입찰 참여사가 기본설계를 토대로 기술제안을 하여 실시설계와 시공을 포함하여 시공사를 선정하는 계약 방법으로 실시설계와 시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신속 처리제(FAST-TRACK) 입찰방식이다.
그동안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방식은 대형건축물(연면적 3만㎡ 이상), 특수교량(3km 이상) 등에만 적용해왔으나 2019년 2월 25일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 기준」 개정으로, 일반공사도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이 가능해짐에 따라 산림청은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 조성공사를 적기에 조성하기 위하여 ‘기본설계 기술제안’ 입찰을 준비해 왔다.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은 경북 영주 예천의 산림치유원 ‘다스림’에 이은 대규모 장기체류형 산림치유시설로 전북 진안군 백운면에 617ha 규모로 조성되며, 5년(2018∼2022년)간 총 827억 원(국비 662억 원, 지방비 16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산악지역에 조성되는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은 대다수 건축물을 목구조 건축으로 기본설계에 반영하여 빌딩 정보 모형화(BIM) 설계와 모듈화 및 프리패브방식 등으로 지능형(스마트) 건설기술 적용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었다.
산림청은 국토교통부의 지능형(스마트) 건설 핵심기술 상용화 정책에 맞춰 빌딩 정보 모형화(BIM) 기반 ‘지능형(스마트) 건설기술’을 국립지덕권산림치유원 조성공사의 설계와 시공단계까지 전 과정에 적용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