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산업 육성과 농촌 활성화 수단으로 창업 활동을 지원하는 정책과 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역량을 갖춘 창업가를 발굴하고 예비 창업 지원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농촌의 창업 활동 특성과 성장 요인 연구’를 통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농촌 창업 경영체의 현황과 성장 요인을 진단하고, 농촌 창업 활성화 정책의 추진 방안과 과제를 제시했다.
농촌 창업 활동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도시와 비교했을 때 농촌의 창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데이터의 창업 경영체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 도시 창업 업체수는 2010년 대비 2.0% 감소한 데 반해, 농촌에서는 21.1% 증가했다. 고용 인원도 농촌에서는 25.7% 증가한 반면, 도시에서는 5.4% 증가에 그쳤다.
연구책임자인 정도채 연구위원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농촌에서 다양한 산업 부문의 창업이 증가하고, 창업 경영체의 성장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계속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농촌에서 창업한 경영체들의 성장 과정을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 농촌에서 창업한 경영체 중 2020년까지 생존해 있는 기업은 66.5%로, 전국 창업기업의 평균 생존율 50.3%보다 높았다.
그러나 농촌 창업 경영체의 연평균 성장률은 7.4%로, 전국 전체 평균 7.9%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농촌 창업 지원 정책 추진 시 창업가나 경영체의 역량 및 시장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지원과 창업의 양적 확대를 우선시하는 정책 추진 방향이, 창업 실패의 증가 요인으로 지적했다.
정도채 연구위원은 “농촌 창업 정책의 개선 방향으로는 무엇보다 역량을 갖춘 창업가 발굴과 창업 전 예비 단계의 지원이 중요하다”며 “기업가 정신과 역량을 보유한 예비 창업가를 발굴하고, 예비 창업단계에서의 교육과 지원을 강화한다면, 농촌 창업 경영체의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