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축환경신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일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에서 '기후변화 대응 고랭지채소 생산안정 대토론회'를 열고 고랭지채소의 안정적 생산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 기반 약화를 극복하기 위해 각 기관의 정책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농식품부를 비롯해 농촌진흥청, 강원특별자치도청, 농업기술원, 농협,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생산자단체, 유통·가공업체, 육종기업 등 관계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기후대응 기술 ▲정책·제도 지원을 두 축으로 발표와 토론을 이어가며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최근 기후변화로 고랭지채소 재배 여건은 크게 악화되고 있다. 이상기후와 연작 피해로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급감하면서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줄고 있다. 실제로 강원특별자치도의 2024년 고랭지채소 재배면적은 10년 전보다 약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공급 불안정은 생산자 소득과 유통 안정성, 소비자 후생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날 생산자들은 “사전 예방 중심의 병해충 관리와 기후적응 품종 선택, 작기 조절 등을 통해 안정적 생산이 가능하다”며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유통업계도 기후적응 신품종 유통 확대, 새로운 재배적지 발굴, 극한 기후 시 출하 장려금과 농자재 지원 등 상생 방안을 제시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앞으로 기후적응형 품종 및 재배기술 개발·보급을 강화하고, 토양 개선을 위한 지원과 함께 농업소득 안정 장치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특히 채소가격안정제를 사과·배 등 과수까지 확대해 **‘원예농산물안정생산공급지원사업’**으로 개편·추진하고, 농업수입안정보험 확대와 소비자 대상 품질·가격 정보 제공도 늘려갈 방침이다.
농식품부 김종구 식량정책실장은 토론회에 앞서 준고랭지 시험포와 강원도 안반데기 현장을 둘러본 뒤 “기후변화 속에서도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각계각층이 관심을 보여 주셔서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충실히 반영하고 농식품부, 농진청,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정책 성과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