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축환경신문]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축산 난제 해결 기술개발 전략 수립’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관계기관, 가축분뇨 전문가, 생산자 단체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주최하고 농촌진흥청이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환경과 조화하는 지속 가능한 농림축산업 발전’이라는 국정 방향 아래, 산학연 전문가들이 지혜를 모아 실질적 해법을 찾는 자리로 마련됐다.
토론회에서 안희권 교수(충남대)는 ‘실효성 있는 축산악취 저감 기술’을 주제로 국내 축산악취 현황과 문제점을 발표했다. 이어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성과를 중심으로 저감 기술 현황과 확산·보급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을 심도 있게 다뤘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이동준 연구관은 가축분뇨 에너지화, 특히 고체 연료화 관련 기술개발 현황과 현장 적용을 위한 제도적 문제를 소개하며, 고체연료·바이오차 등 가축분 처리 연구 방향을 공유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해 온실가스와 악취 문제 해결이 필수라는 점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참석자들은 축산농가의 경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저비용·고효율 악취 저감 시설 개발과 지원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모았다.
또한 가축분뇨를 미래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기술 개발의 병행 필요성, 안정적인 고체연료 수요처 확보, 산업용 보일러 개발, 연소재 자원화 기술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졌다.

농촌진흥청은 2050 탄소중립 목표와 연계해 가축분뇨 에너지 자원화 등 처리방식 다각화를 모색하며, 오랜 난제였던 분뇨 문제 해결에 힘쓰고 있다.
이승돈 청장은 “가축 사육 규모 확대에 따라 분뇨 발생량이 급증하면서 기존 퇴·액비 위주의 처리방식은 한계에 도달했다. 이제 새로운 해법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토론회가 정부, 지자체, 현장이 긴밀히 협력해 연구 성과를 빠르게 확산시키고, 지속 가능한 축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끄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