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고랭지 배추 품종 개발 전략 첫 논의

[농축환경신문] 농촌진흥청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여름철 고랭지 배추 재배 불안정을 해소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새로운 품종 개발을 위해 민관 협력에 나섰다.
8월 21~22일 강원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열린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 및 현장 평가회’에는 민간 종자회사 배추 육종가와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여했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으로 고랭지 배추 재배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칼슘 결핍으로 잎끝이 타면서 속이 무르고 썩는 ‘꿀통 배추’ 현상 등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겹쳐 품질과 수확량이 동시에 감소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단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 육종 전략’ 필요성이 강조됐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을,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을, 원재희 전 강원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을 발표했다. 이후 시험장에서 육성 중인 배추의 생육 특성을 직접 살펴보며 의견을 나눴다.
둘째 날에는 태백시 매봉산 재배시험지 ‘바람의 언덕’에서 여름 버팀성이 뛰어난 품종과 주요 재배 품종, 민간 시험 품종 등 20여 자원을 대상으로 결구력, 균일도, 병 저항성을 평가해 유망 품종을 선발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기초기반과 옥현충 과장은 “이번 행사는 고랭지 배추 안정 재배를 위해 육종 분야에서 처음 시도되는 실질적 민관 협력 사례”라며 “앞으로도 현장과 함께하는 개방형 육종 생태계를 확대해 김치 산업의 기반인 배추의 안정적 생산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