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 이른바 ‘올다무’, 급격한 성장세
소비패턴 변화 뚜렷…”면세점 대신 올다무” 선호 뚜렷
[농축환경신문] 외국인 방한 소비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기존에는 면세점이 외국인 쇼핑의 핵심 채널이었지만, 최근에는 K-뷰티와 K-리빙을 대표하는 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일명 ‘올다무’)로 무게추가 이동하고 있다.
하나카드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이용 데이터 분석 결과, 올다무는 소비금액· 이용자 수·이용건수 모든 지표에서 2024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면세점은 상대적으로 둔화된 성장세를 나타낸 것을 확인했다.
올리브영은 K-뷰티를 대표하는 유통채널로 자리잡으며, 이용금액과 이용자 수 모두 면세점 대비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외국인 쇼핑업종 이용자중 중 34.7%가 올리브영을 방문할 만큼 일상 소비채널로 안착했다.
다이소는 소액 생활용품이 중심이지만, 이용자 수가 46% 증가하며 전체 외국인 쇼핑업종을 이용한 고객의 14.5%가 방문하는 인기 매장으로 부상했다. ‘한국 오면 꼭 들러야 할 곳’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무신사는 매장 수가 제한적인 온라인 중심 브랜드임에도 이용금액 343%, 이용자 수 348% 증가로 가장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특히 K-패션을 선호하는 젊은 관광객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했다.

국가별로 면세점 중심 소비와 '올다무' 중심 소비로 양극화
일본 – 면세점 강국에서 K-소비 최강국으로 전환 중
일본은 2024년 기준 면세점 이용액이 전체 쇼핑 소비액의 53.7%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여전히 전통적인 소비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동시에 올리브영 이용액은 전년 대비 78.9% 증가, 무신사 이용액은 542.1% 급증해 K-뷰티·패션에 대한 높은 수요를 보여주고 있다.
대만– 면세점 강세 속 '올다무' 소비도 폭발
대만은 전체 쇼핑 이용금액 중 면세점 이용액 비중이 58%로 높은 수준이지만, 올리브영이 전년대비 매출액 169.1%증가하였고 무신사 376.6%의 증가로 성장률이 돋보이며 올다무 전체 소비가 증가했다. 이는 대만 소비자들이 한국에서의 실용형 소비에도 적극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무신사 소비 폭증, K-패션 가능성 확인
미국 역시 무신사 이용금액이 전년 대비 246.4% 증가를 기록했고, 올리브영 77.3% 증가 및 다이소 26.8% 증가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면세점 소비금액 비중은 쇼핑업종 지출액 중 18.3%수준으로 낮으며, 건당 소비액도 227,534원 수준으로 평균 대비 낮아 전통적 명품소비보다는 실속형 소비와 K-브랜드 소비가 두드러진 국가로 분석된다.

중국– 면세점 소비 여전히 압도적
중국은 면세점 소비액이 전체 쇼핑이용 금액의 33.4%로 여전히 면세점 중심 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올리브영 이용액도 전년 대비 106.9% 증가해 점진적인 소비 다변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싱가포르– 실용 소비와 명품 소비 공존
싱가포르는 전체 쇼핑 이용액 중 면세점 이용액 비중이 47%로 여전히 강세지만, 23년 대비 다이소 이용액이 45.9% 중가, 무신사 이용액이 226.5% 증가하는 등 실용형 채널에서도 꾸준한 이용 증가가 나타났다 건당 이용금액에서도 다이소 20,102원, 올리브영 89,837원으로 실용형 브랜드에서도 고단가 소비를 나타내고 있다.이는 싱가포르 소비자가 실용성과 품질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성향임을 보여준다.
하나카드 디지털 글로벌 그룹의 방승수 상무는 "이번 데이터분석을 통해 외국인 소비 트렌드가 국가별로 차별화돼 나타나고 있는 모습"이라며 "이제는 단일 채널 중심 전략이 아닌 국가 맞춤형 브랜드 마케팅과 프로모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