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축환경신문] 산림청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최무열)은 6월부터 8월 까지 약 3개월간 전국의 목재산업 종사 업체를 대상으로 ‘2024년 기준 목재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조사는 국산 및 수입 원목과 목재제품의 생산·수입·유통 현황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목재이용 활성화 정책 수립뿐 아니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국가유산수리 목재제품’이 신규 조사 품목으로 포함되어, 총 22개 품목에 대한 조사가 이뤄진다. 이는 전통건축 및 문화유산 복원에 사용되는 목재제품의 수급 실태를 실태조사에 처음으로 반영한 것으로, 목재산업과 문화유산 산업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의미 있는 시도이다.
조사 대상은 목재생산업(원목생산업, 제재업, 수입유통업) 등록 업체 전수와 함께, 장작 및 표고버섯 재배용 자목 관련 종사자까지 포함된다. 조사 방법은 사전에 전화로 안내한 후, 훈련된 전문 조사원이 업체를 직접 방문해 면접하는 방식이다.
이번 조사는 국가승인통계(제136034호)로 수행되며,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통계 생산을 위해 조사 대상자의 성실한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 조사 결과는 ‘목재이용실태조사 보고서’ 형태로 산림청 누리집의 ‘행정정보-산림통계-기타통계’ 및 한국임업진흥원 누리집의 ‘임업정보-통합자료실-일반자료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최무열 원장은 “올해 처음 포함된 ‘국가유산수리 목재제품’은 전통문화 보존과 목재산업 간 접점을 넓히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한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해 현장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