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축환경신문] 한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4일 봄배추 주산지인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을 방문하여 봄배추 작황을 점검하고 생산농가를 격려하고, 김치업체 등 민간의 저장 동향과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겨울배추 작황부진으로 4월에 평년비 62% 상승했던 배추 도매가격이 5월 들어 봄배추가 출하되면서 하락세로 전환되었고, 5월 하순에는 포기당 2,190원으로 전·평년 수준(평년비 4%↓, 전년비 8%↓)으로 안정되었다.
배추뿐만 아니라 노지 봄채소들이 본격 출하되면서 전월대비 해서 6월 3일 현재 양배추는 40.6%, 대파는 27.9%, 양파는 21.4%, 무는 11.4% 하락했다.
그러나 노지채소는 기온, 강우 등 기상요인과 생육관리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큰 품목이므로 철저한 작황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여름철은 고온과 폭우가 빈번하여 작황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여름(고랭지) 배추는 재배면적이 평년비 5% 감소할 전망으로 공급 여력이 비교적 충분한 봄배추를 선제적으로 비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훈 차관은 농진청과 농업기술센터에 배추 생육 및 기술지도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였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는 6월~10월 배추와 무 수급안정을 위해 추진중인 정부 수매비축(1만5천톤)을 장마 시작 이전에 차질없이 완료할 것을 지시했다.
한훈 농식품부 차관은 "정부는 노지채소 수급안정을 위해 앞으로도 생육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공급부족 우려 품목에 대해서는 선제적 비축 및 할당관세 등 수입을 추진하여 국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