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지난 1일, 통일부가 주최한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에서 ‘그린 데탕트를 통한 한반도 평화와 기후위기 대응 방안’이라는 세션을 진행했다.
그린 데탕트는 환경을 뜻하는 ‘그린’과 프랑스어로 완화를 뜻하는 ‘데탕트’를 결합한 단어로, 환경 생태 협력을 통해 남북관계의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공존을 이루어 통일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정책적 구상이다.
산림청 이용권 해외자원담당관은 에티오피아 민족 분쟁지역에서 공동산림관리를 통해 협력관계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며 “남과 북도 DMZ 내 산림복원사업을 통해 그린 데탕트를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홍상영 사무총장은 “북한이 산림복구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어 남북산림협력사업을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온실가스감축사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기후변화연구원 김지현 팀장은 REDD+사업이 개발도상국 산림 전용과 황폐화를 방지하고 온실가스 흡수를 늘리는 활동이라고 설명하는 한편, “남북이 파리협정에 함께 참여하고 있어 충분히 실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최형순 과장도 “북한 REDD+사업이 사전 준비과정이 필요하지만,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남북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국립산림과학원 박현 원장은 “세계적 기후재난이 확대되면서 환경 파괴 문제가 새로운 포괄적 안보와 평화의 이슈”라며 “남북협력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며, 남북산림협력사업은 기후위기 대응과 그린 데탕트를 구현하는데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