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박홍재)은 농촌진흥청에서 주관한 지역농업 육성사업의 국가 집중 육성 36개 지역특화작목에 전남의 커피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성인이 가장 선호하는 음료인 인스턴트, 원두 등의 커피가 26.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테이크아웃 커피(커피전문점 등)가 12.7%, 과일주스 10.4%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보면 작년 우리나라 커피 수입량은 10만 4,905톤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커피 수입량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8일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촌진흥청에서 조사한 전남의 커피 재배 현황은 21농가, 재배면적 4.4ha로 전국(7.45ha)에서 가장 많은 4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금껏 대부분의 농가에서 재배기술이 정립되지 않아 생산성과 품질 저하로 인한 소득이 불안정하며, 수입 원두와의 가격경쟁력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생산·가공·체험 등 농촌융복합(6차산업) 소득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도 농업기술원은 앞으로 3년간 23억 원을 투입, 4개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국내 환경에 알맞은 재배·생산 및 가공기술을 체계화하고, 6차산업 소득화 모델 개발 및 경영체 육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