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이 지난 10년 간 농업 반도체로 불리는 종자 개발사업에 나섰지만, 목표 달성률에 절반도 못 미치는 성적으로 종료를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에 따르면,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2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진행되는 '골든씨드 프로젝트'에서 식량종자사업단과 종축사업단을 맡았지만, 올해 6월 기준 수출액 사업목표 달성률이 각각 42.2%와 9.1%에 그쳤다.
농촌진흥청이 추진한 식량종자사업단의 올해 6월 기준 수출액 사업목표액은 2,600만 달러였지만 실적이 1,098만 달러로 달성률이 42.2%에 그쳤다. 종축사업단은 275만달러가 목표였지만 실적은 25만 달러로 9.1%에 불과한 수준이다.
수입 대체율을 기준으로 살펴봐도 종축사업단의 국내 시장 점유율 달성률이 35.7%에 그쳤다. 종축사업중 종돈(씨돼지)의 경우 수입대체율이 99.2%로 100%에 가까이 됐지만 종계(씨닭)의 경우 목표가 30%인 것에 비해 실적은 10.7%로 달성률이 35.7%에 그쳤다.
농촌진흥청은 골든씨드 프로젝트에 참여한 나머지 3개 기관과의 비교에서도 가장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위성곤 의원은 “글로벌 종자기업들이 세계 종자시장 선점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며, “기후위기, 코로나 위기 시대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종자산업 활성화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