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농가소득은 평균 4,118만2000원으로, 전년대비 88만4천원(2.1%) 감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부 농축산물 가격하락과 쌀 변동직불금 지급 지연에 따른 농업수입 감소 영향으로 농업소득이 20.6% 감소한 반면 6차 산업화 등 농업외소득은 2.2% 증가하고 직접지불금 확대, 국민연금 급여 확대등 소득안전망 확충으로 이전소득도 증가(13.5%)했다.
또 경영주 연령별로는 40대 이하(7.1%증), 50대(0.2%증), 60대(2.2%증) 주력농가 그룹의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70대 이상 농가 소득(△3.3%) 감소로 평균 농가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농업소득 중 농업총수입은 주요 농작물 수입 감소(△5.7%)와 쌀 변동직불금 지급 지연에 따른 농업잡수입(△35.5%)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3.7% 줄었다.
주요 과실·채소류 등 수급 불안 및 태풍에 따른 품위 저하에 따른 가격하락 등으로 채소·과실류 수입은 감소했다. 양파는 2018 평균 785원/kg에서 2019 평균 594원/kg으로 전년대비 24.3%, 사과는 2018 평균 3만2429원/10kg에서 2019 평균 2만6299원/10kg으로 전년대비 18.9% 내려갔다.
축산물은 2019년 전반적인 축산물 가격 상승 및 농가 생산 증가 등으로 축산분야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돼지 생산량은 25018년 대비 증가(2.7%증, 수입량도 증가추세: 2015∼2019 연평균 3.9%), ASF 발생에 따른 소비자 기피 심리 등으로 판매가격은 12.0%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 평균 부채는 증가(245만원)했으나 자산도 증가(3,377만원)해 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6.7%로 동일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는 주요 농산물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공익형직불제, 재해보험 등 소득안전망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주요 채소류 가격 불안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관측체계를 확충하고 채소가격 안정제 를 확대하며 주요품목 의무자조금을 도입한다는 것이다,
또 농가소득 안정 및 농업의 공익적 기능 강화를 위해 공익형 직불제를 5월 1일부터 본격 시행하고 재해보험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FTA 등 시장 개방화 등에 따라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는 돼지 등의 품목에 대해서는 FTA피해보전 직불금 요건 충족 여부 등을 분석,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