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편이 과일채소 원료의 안정적 공급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 신선편이 제조업에서 사용 중인 채소 과일의 77.9%가 국내산으로 국산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최근 수입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국산 농산물의 안정적 확보가 어려우면 시장이 수입산으로 대체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1일 ‘신선편이 과일 채소 시장 변화와 대응과제’ 연구를 통해 최근 신선편이 과일 채소 시장에 대해 분석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김상효 부연구위원은 “컵과일, 샐러드 등 즉석섭취용 신선편이 과일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외식업체나 급식업체에서도 신선편이(전처리) 채소류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신선편이 과일 채소 시장의 규모가 2020년에는 1조 1,369억 원으로 1조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가구용 수요를 조사한 결과, 조리용 간편채소와 즉석섭취용 채소 샐러드, 즉석섭취용 컵 조각 과일 모두 구매 의향 점수가 5점 만점에 3.36~3.56점으로 향후 구매 의향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체급식 시장의 경우 향후 구매 전망 점수가 신선편이 채소는 3.83점, 신선편이 과일은 3.43점으로 모두 높게 나타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신선편이 제조업체 조사 결과, 직영 농장을 운영하여 조달하는 비중은 전체의 1.8%에 불과하며 주로 유통업체 및 산지 수집상(36.9%)에 의존하고 있어, 원물가격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에 대해 김 부연구위원은 “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생산자와 제조업체,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 민관협력이 필요하다”며, “민관협력을 통해 산지조달 확대, 계약재배 추진, 직영농장 운영, 긴급물량 조달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