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I ‘농업전망 2019’ 개최
올해 농가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4000만원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2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농업전망 2019 행사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농업 및 농가 경제 동향, 농축산물 수급 전망을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업생산액은 1년 전보다 4.2% 증가한 50조1890억원으로 추산된다. 농업생산액이 5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원은 쌀과 한우 가격의 상승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지난해 급등했던 품목의 가격이 안정되면서 지난해보다 1.5% 감소한 49조4420억원이 될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올해 농가소득은 농업 외 소득이 증가하면서 지난해보다 1.1% 증가한 4006만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 2028년에는 농가소득이 4840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농축산물 가격 개념의 농가판매가격지수는 2015년을 100으로 했을 때 지난해 107.9로 나타났다. 올해는 105.4로 2.3%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곡물류(-5.6%), 축산물(-5%), 채소류(-2.4%), 청과류(-0.7%) 등 과실류(1.3%)를 제외한 주요 품목 모두 가격이 하락할 전망이다.
2018년산 단경기(올해 7~9월) 쌀 가격은 지난해 80㎏당 수확기 가격 19만3570원보다 4.4% 하락한 18만5000원으로 예상된다.
농가 인구는 지난해보다 1.7% 감소한 234만명, 농가 호수는 1.4% 감소해 101만호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농림어업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1.5% 증가해 136만명으로 예상된다.
농축산물 수출액은 2.2% 증가해 65억5000만달러(약 7조3976억원), 수입액은 0.6% 증가한 275억8000만달러(약 31조1489억원)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