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환경신문]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생태적 건강성과 사회·문화적 기능이 우수한 도시숲 등을 공모해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14곳을 선정했다.
이번 녹색도시 우수사례는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도시숲, 학교숲, 가로수 등을 대상으로 43건이 접수됐으며, 1차 서류평가와 도시숲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단의 현장심사를 거쳐 총 14곳이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최종 선정됐다.
올해의 녹색도시로 ‘기후대응도시숲 분야’에 ▲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국가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유천생태습지 기후대응 도시숲,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천대로 완충녹지 기후대응 숲이, ‘도시숲 분야’에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치악산 바람길숲, ▲ 부산광역시 남구 황령산 생태숲이, ‘가로수 분야’에 ▲ 경상북도 포항시 이화숲 가로수길, ▲ 경기도 평택시 평택 NO.1 가로숲터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청사로가로수가, ‘학교숲 조성 분야’에 ▲ 대구광역시 중구 경북여자고등학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초등학교 ▲ 경상북도 상주시 상주여자중학교가, ‘학교숲 활용·사후관리분야’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귀덕초등학교, ▲ 경기도 부천시 시온고등학교가 선정됐다.
기후대응도시숲 분야 최우수 사례 중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국가산업단지 미세먼지 차단숲’은 국가산업단지와 배후 주거지 사이에 미세먼지 저감 목적의 숲을 조성해 숲 기능이 잘 발휘됐고, 조성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식재기반, 마운딩을 통해 보완했으며, 교목과 관목을 활용해 식재 밀도를 조절하고, 다층 구조를 이뤄내 선정됐다.
또한, 도시숲 분야 최우수 사례 중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 폐선철로 도시숲’은 국토부·환경부 사업과 연계해 진영읍의 폐선철로를 다채롭게 조성했으며, 선형 녹지 네트워크로서의 도시바람길숲의 기능이 잘 발휘되는 곳으로 평가돼 선정됐다.
가로수 분야 최우수 사례 중 경상북도 포항시의 ‘이화숲 가로수길’은 포항철길숲-이화숲길-상생공원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연속성이 확보돼, 도시 생태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를 하며,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과 홍보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받아 선정됐다.
학교숲 조성 최우수 사례 중 대구광역시 중구의 ‘경북여자고등학교’는 학교 건물 사이에 중정을 조성했으며, 교목·관목 비중이 매우 높고 탄소흡수율이 매우 뛰어나며 미세먼지 흡수, 습도 조절을 수행하고, 상록 활엽수의 혼재 식재로 심미적 효과와 학생·교직원의 안정적인 정서 유지에 기여함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학교숲 활용·사후관리 분야 최우수 사례 중 제주시의 ‘귀덕초등학교’는 학교의 버려진 공간을 발굴해 조성한 후, 활용 및 관리를 위한 협약 체결 등 유지관리 체계를 갖추며, 학교 구성원들의 관심도가 높은 곳으로 평가돼 선정됐다.
한편, 산림청은 2007년부터 녹색도시 우수사례 선정을 추진해왔으며 도시숲과 가로수를 건강하고 생태적·사회적으로 기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조성·관리하는 사례를 선정해 시상해오고 있다. 지자체를 포함한 도시숲 등 관리주체 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해 폭염·폭우·미세먼지 저감 등 기후재난 기능을 발휘하는 도시숲의 가치와 품질을 향상하는데 시상 목적을 두고 있다.
김기철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양질의 도시숲을 구도심 등 부족한 곳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앞으로도 양질의 숲을 가진 도시를 녹색도시 우수사례로 선정하겠다.”라며 “생태적으로 기능하고 사회적으로 기여하는 도시숲을 통해 기후재난에 대응하고 온 국민이 숲의 혜택을 골고루 누리는 녹색민주주의를 실천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