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진흥회, 세계 대체 유제품 시장 동향·전망
강태영 기자
ktya0712@daum.net | 2024-04-01 10:07:11
[농축환경신문] 최근 동물복지, 환경보존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식물성 대체 음료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 성인의 약 65%가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식물성 대체우유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낙농진흥회는 글로벌데어리 리포트 4월호에서 '세계 대체 유제품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유럽, 대체 유제품 시장 확대
글로벌 금융 및 시장분석 기업인 라보뱅크는 지난 2023년 유럽의 대체 유제품 수요가 확대되면서 유제품 판매가 부진했으며, 2024년에도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라보뱅크는 높은 식품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물성 대체식품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유제품 판매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 상승에 일부 식물성 식품 판매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대체 유제품의 경우 식물성 식품 시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플레이션의 여파로 유제품 가격이 17% 상승한 데 반해 식물성 우유 가격은 1% 상승에 그치면서 판매량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요거트, 버터 그리고 아이스크림 판매량도 눈에 띄게 증가한데 이어 식물성 치즈는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면서 향후 10년간 연평균 15.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 발표된 수치에 따르면, 2년여간 유럽의 식물성 우유 판매가 49% 증가했고, 특히 스위스의 경우 2017년 부터 2021년까지 대체 우유 판매량이 약 80% 증가하면 서 낙농업계가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美, 락토프리 우유 판매 아몬드 우유 판매량 넘어서
최근 미국낙농가협회(NMPF)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식물성 대체 우유 소비는 줄어든 반면 락토프리 및 전지우유(whole milk) 판매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지분유 판매량은 전년대비 0.6% 증가한데 이어 락토프리 우유는 6.7% 늘어나며 아몬드 우유 판매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 식물성 우유 판매량은 6.6% 줄면서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2019년 이후 소비량이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몬드 우유 판매량 또한 2년 연속 줄어들면서 지난해 9.8%의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NMPF 관계자에 따르면, 식물성 대체우유가 유제품의 좋은 대체품이라는 주장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식물성 우유 판매량이 감소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대체 유제품 시장 전망 2031년까지 연평균 10.68% 성장 전망
최근 시장조사기관인 베리파이드 마켓 리서치(Verified Market Research)가 발표한 ‘2024-2031년 세계 대체 유제품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세계 대체 유제품 시장 가치가 304억 9천만 달러(약 40조 9천억원)를 기록했다.
이어 오는 2031년에는 620억 3천만 달러(83조 2천억원)에 이르며 연평균 10.6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부에 서 식물성 대체 유제품이 기존 일반 유제품에 비해 더 많은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시장 성장이 촉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대체 유제품 관련 기업들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솔루션을 사용하는 등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며 환경 친화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도 충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에는 일반 유제품에 비해 질감이나 풍미가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았으나 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맛과 질감은 물론 영양 성분까지 강화됨에 따라 판매 증가 및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유제품 대체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해당 지역의 경우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식습관의 다양화 그리고 외국계 기업의 식품산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대체 유제품 시장 확대가 촉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소비자들의 소득 및 구매력 증가, 중산층 인구의 급속한 확장은 물론 건강과 웰빙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영양가 있고 건강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시장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대체 유제품 관련 업계의 진입 기회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여전히 일반 유제품 대비 비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유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국가별로 다양한 제품 라벨링 규제 등으로 시장 진입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