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내 식품산업 100조 원 돌파· · ·GDP 대비 약 5% 차지

배은미

newbb717@naver.com | 2023-07-28 08:29:24

식품 등·축산물·건강기능식품 등 식품 관련 모든 업종 고르게 성장세 유지
특히 생산실적 97.4%를 차지하는 '식품 등, 축산물' 생산 실적이 크게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최초로 100조 원을 돌파한 가운데 전년(93조 1,580억 원) 대비 12.7% 증가(105조 110억 원)했다고 밝혔다. 또 최근 2017년~2021년까진 5년간 연평균 증가율(5.5%)과 비교해 약 7.2%p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등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대비 19.1%를 차지했다.

지난해 식품산업 전체 생산실적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보다 7.2%p 더 높았던 주된 원인은 식품 관련 모든 업종이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한 가운데 식품산업 생산실적의 큰 부분(97.4%)을 차지하는 '식품 등', '축산물'의 생산실적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에 비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식품 등 생산실적은 67조 7,062억 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64.5%를 차지했으며, 전년(59조 7,871억 원) 대비 13.2% 증가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5.2%)보다 약 8%p 더 높았다. 축산물 생산실적은 34조 4,998억 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32.9%를 차지했으며, 전년(30조 6,589억 원) 대비 12.5% 상승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5.5%)보다 약 7%p 더 증가했다.

지난해 음식료품 생산자 물가지수도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1.6%) 보다 약 7.3%p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생산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022년 식품산업의 주요 특징은, 먼저 식품 등은 가정간편식·탄산음료류 전년 대비 생산실적 증가(각각 14.1%, 15.1%) 했다. 특히 간편조리세트(밀키트)의 가파른 성장세(228.3%↑)를 보였고, 원료 수급 불안정으로 밀가루·식물성유지류의 생산단가는 상승(각각 43.6%, 33.3%) 했다.

또 축산물은 최근 5년간 돼지고기 포장육, 소고기 포장육, 양념육류가 전체 식품별 생산실적 1~3위 품목을 차지했다.

건강기능식품은 생산실적이 최근 5년 연평균 증가율 보다 12.9%p 낮아 증가세 둔화했다. 다만 단백질 제품의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크게 증가(191.5%↑) 했다.

또 제조업체별 생산실적 1조 원 이상 업체는 식품제조·가공업체 8곳과 축산물가공업체(유가공업체) 1곳으로 총 9곳으로 나타났으며, 지난해 보다 식품제조·가공업체 삼양식품㈜, ㈜삼양사, 대상주식회사 등 3곳이 추가됐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