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맑은’ 아산시 특화 품종으로 재배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3-29 05:15:00
지역민과 함께 만든 벼 ‘해맑은’이 ‘아산맑은쌀’ 원료곡으로 이용되고, 재배면적도 확대되면서 지역특화 품종으로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산맑은쌀’은 아산시의 쌀 상표로, 고품질 쌀 생산유통 분야 대통령 표창(2009), 한국 소비자단체 및 농림부가 평가한 전국 12대 우수브랜드(2012)로 선정됐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과 충남 아산시(시장 오세현)는 ‘해맑은’ 재배 단지를 확대하고 우량종자 생산·공급체계를 구축, 2026년까지 기존 ‘삼광’ 품종을 ‘해맑은’으로 전량 대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맑은’은 농업인과 전문가,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수요자 참여형 품종개발’을 통해 농촌진흥청과 아산시, 지역농협이 공동으로 개발한 고품질 벼이다.
아산시는 올해 둔포와 영인 일대 300헥타르(ha)에 ‘해맑은’ 재배 단지를 조성하며, 2026년까지 총 5,000헥타르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산시는 다른 지역 쌀 상표(브랜드)와 차별화하기 위해 ‘아산맑은쌀’ 원료곡을 ‘삼광’에서 ‘해맑은’으로 바꾸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산시는 충남농업기술원 종자관리소, 한국농업기술진흥원과 종자생산 업무협약을 맺고 안정적인 종자생산 공급체계를 구축해 올해 100톤 분량의 ‘해맑은’ 종자를 생산, 보급할 계획이다.
2019년 개발된 ‘해맑은’은 밥맛과 품질이 우수하며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에도 강하다. 이삭싹나기(수발아) 저항성이 높으며 태풍에도 잘 쓰러지지 않아 아산 재배 농가와 지역농협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도열병에 다소 약해 적절한 비료주기(적정균형시비)가 필요하며, 여묾비율(등숙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내기를 제때(적기이앙) 해야 한다.
한편 올해 생산되는 ‘아산맑은쌀’은 11월부터 전국 농협하나로마트, 인터넷쇼핑몰 등에서 판매될 계획이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