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장현 서부지방산림청장

우리나라 목재제품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입장에서 수입의 어려움과 더불어, 국내 목재수확의 부정적 여론으로 국내 목재원료마저도 구하는데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례로 장례용품인 화장용 오동나무관도 중국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 중국의 공급량이 줄고 있어 장례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산림청은 국내의 안정적인 목재공급을 위해 장기적인 목재자급률 향상에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약 16%의 자급률(2020년 기준)을 보이고 있는 실정으로 산림의 목재를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면서, 베고-쓰고-심고-가꾸는 산림자원의 순환경제를 통해 산림의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가치를 다양하게 고려한 미래산업을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9월, 대규모 벌채와 관련해서도 벌채면적을 현행 50ha에서 30ha로 축소하고, 급경사지, 계곡부, 산정상부 등 산림을 존치하는 등 모두베기 벌채방식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고, 목재수확 사전 타당성조사 제도를 도입하는 등 목재수확 전 과정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는 ‘벌채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서부지방산림청에서는 새로운 벌채제도 개선 방안 실천을 위해 산의 지형과 형세, 임목의 종류와 생육상태, 그리고 산림생태와 환경까지 고려해 단목존치, 군상존치, 대상개벌 등 다양한 벌채방식을 적용한 친환경적 목재수확(벌채) 디자인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작업로 하단부에 수평 수림대(폭15m)를 존치하여 재해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주민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밀원수 식재 등 지역사회와도 함께하는 목재수확 사업이다.
국가별 목재자원 보호정책 및 시장 여건에 따라 국내 목재 자원 수급의 어려움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이 어려움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유림을 비롯한 경제림육성단지의 목재자원 비축기지의 역할이 중요하다.
과거 치산녹화시기(1973∼1987)에 심었던 리기다소나무를 비롯해 사방오리 등 불량활엽수림을 지속적인 친환경벌채를 통해 편백, 가시나무 등 경제성과 기후성이 있는 나무로 교체해야하는 이유이다.
해현경장(解弦更張)이라는 말이 있다. ‘거문고의 줄을 바꾸어 매다’라는 뜻으로 느슨해진 것을 긴장하도록 다시 고친다는 고사성어이다. 산림자원의 순환경제 체계구축을 위해서 목재수확은 반드시 필요한 만큼 새롭게 디자인한 친환경적 목재수확을 통하여 다시금 산림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건전한 생태계를 유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