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2% 상승

김대경 기자

press@nonguptimes.com | 2025-04-07 09:14:49

(가격하락) 곡물(△2.6%), 설탕(△1.4%)
(가격상승) 유지류(+3.7%), 육류(+0.9%)
(가격유지) 유제품(0%)
aT 제공

[농축환경신문]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3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26.8포인트) 대비 0.2% 상승한 127.1포인트를 기록했다. 품목군별로 곡물, 설탕 가격은 하락, 유지류와 육류 가격은 상승, 유제품의 가격은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국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개월 연속 2.5% 수준 이하를 유지(3월 0.4%)하고 있다.

정부는 배추, 무 등 주요 농산물과 코코아, 커피 등 식품 원자재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등에서 농축산물 할인지원(최대 40%)을 지속하는 등 소비자물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 수급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될 경우, 선제적인 수급 안정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2025년 3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 (3월 곡물 가격지수) 109.7포인트 (전월 112.6포인트 대비 2.6% 하락)

국제 밀 가격은 주요 북반구 수출국들의 작황 우려가 해소되고, 무역 긴장 고조로 시장 심리가 위축되면서 하락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공급 압박, 튀르키예의 밀 수입 할당량 폐지 및 환율 변동으로 그 하락폭은 일부 제한됐다. 국제 옥수수 가격은 브라질의 작황 개선, 아르헨티나의 수확 시작, 중국의 수입 수요 약화 등으로 하락하였으며, 수수 가격은 하락한 반면, 보리 가격은 소폭 상승하였다. 쌀 가격지수는 약한 수입 수요와 풍부한 수출 가능 물량으로 하락했다.

▶ (3월 유지류 가격지수) 161.8포인트 (전월 156.0포인트 대비 3.7% 상승)

팜유, 유채유, 콩기름, 해바라기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유지류 가격 지수도 상승했다. 국제 팜유 가격은 주요 생산국들의 생산량이 계절적으로 저점에 도달하면서 상승했다.

대두유 가격은 다른 기름들과 비교해 가격 경쟁력이 있어 국제 수입 수요 증가로 상승하였으며, 주요 수출국들의 공급 부족과 강한 국제 수입 수요로 유채유와 해바라기유 가격이 상승했다.

▶ (3월 육류 가격지수) 118.0포인트 (전월 117.0포인트 대비 0.9% 상승)

독일이 구제역 청정 국가로 인정받은 이후, 주요 교역 국가인 영국이 수입 금지를 해제하면서 발생한 돼지고기 가격 상승으로 육류 가격지수가 상승했다. 양고기 가격은 부활절 연휴를 앞둔 수요 증가로 상승, 소고기 가격도 제한적인 공급과 강한 국제 수요로 상승했다. 반면 가금육 가격은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에도 불구하고, 국제 공급과 수요가 균형을 이루어 대체로 안정세를 보였다.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 (3월 유제품 가격지수) 148.7포인트 (전월 148.7포인트 대비 유지)

치즈 가격은 공급 안정과 수요 둔화로 1.8% 하락하였으나, 버터와 분유 가격 상승이 이를 상쇄했다. 국제 버터 가격은 오세아니아와 유럽 지역의 생산 부진과 국제 수요 증가로 상승하였고, 분유 가격도 국제 공급 제한으로 상승했다.

▶ (3월 설탕 가격지수) 116.9포인트 (전월 118.5포인트 대비 1.4% 하락)

국제 수요 약화와 함께 브라질 남부의 주요 사탕수수 재배 지역에서 가뭄이 해소되면서 국제 설탕 가격이 하락했다. 그러나, 인도의 생산 전망 악화와 브라질에서의 사탕수수 수확 전망 우려가 여전히 가격 상승 압박을 가하고 있어 하락폭이 크지 않았다.

2024/25년도 FAO 세계 곡물수급 전망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4/25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2024/25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848.8백만톤으로 2023/24년도 대비 0.3%(7.8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4/25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868.4백만톤으로 2023/24년도 대비 1.0%(26.6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4/25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73.3백만톤으로 2023/24년도 대비 1.5%(13.1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