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농기원, 완도 노지감귤 ‘다공질필름 토양피복’ 효과 입증

정영란 기자

yungran528@hanmail.net | 2024-01-18 11:24:26

고당도 노지감귤 브랜드화로 농가 소득향상 기여 완도 소안도 노지감귤 농장 다공질필름 피복(전남농기원 제공)

[농축환경신문] 전라남도농업기술원(원장 박홍재)은 완도지역 노지감귤 과수원 표면에 다공질필름을 피복한 결과 품질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남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소안도 노지감귤 농장 경사지에 다공질필름을 사용한 결과 당도가 일반재배 9.5Brix에 비해 11.8Brix로 약 24% 증가했고, 과일 착색도 잘 되어 수확 시기가 2주가량 앞당겨졌다.

전남지역 노지감귤(온주밀감) 재배 면적은 41ha이고, 완도군은 28.3ha로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완도지역의 일조시간이 2,319시간으로 제주보다 307시간 많아 과실 품질향상에 유리한 기후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번 토양피복 실험은 제주지역의 일부 농가에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기술로, 수확 전 토양 내 수분을 낮추고 광(光) 환경 개선을 통해 전남지역에 맞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추진했다.

다공질필름(타이벡)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의 극세사 부직포로써 잡초발생 방지, 빗물차단, 토양수분 유지, 빛 반사 등의 효과로 당도를 높이고 수확 시기를 앞당길 수 있어 과수원 착색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남농업기술원 과수연구소 김대선 연구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도 노지감귤 고품질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와 농가 소득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