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구매 관여도↑ ‘한우 구매력 상승’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5-31 11:13:21

한우자조금,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 결과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올해 1월부터 2개월간 일반소비자 3천명, 우리한우판매점·한우유명한곳 소속 소매판매점 400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한우고기 소비유통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금번 모니터링은 「TNO코리아」에서 전년도(2021년) 기준으로 조사를 수행하고,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교육조사부」에서 분석·정리한 것이다.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가구소비자는 육류 구입 시 전년 대비 ‘가격’ 요인 중요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대부분의 육류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가격 외에 ‘원산지(+2.9%p)’, ‘등급(+3.9%p)’, ‘안전성(+1.5%p)’ 등 제품의 신뢰도와 관련된 요인들의 중요도가 증가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우고기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점 정육코너(37.2%)가 전년과 동일하게 가장 높았으며, 특히 인터넷/TV홈쇼핑을 통한 구입은 전년대비 1.7%p 증가한 6.9%로 나타났는데, 전체 비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은 편이지만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외식 시 한우고기 1인당(1회) 지출 비용은 전년 대비 9,117원 증가한 61,269원으로, 한우가격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1인당 평균 한우고기 외식 섭취량은 코로나19 및 가격상승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13g 증가한 333.6g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한 식품구매형’과 ‘식품구매 고관여형’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한우고기 평균 섭취량이 높았다.

2022년 유통업계의 한우고기 구입량 전망을 조사한 결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46.5%, ‘증가할 것’ 25.0%, ‘감소할 것’ 28.5%로 조사됐다. ‘식육판매점’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일반음식점’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한편 결과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정보마당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