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조명 설치 나무 ‘탄소저장량 감소’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2-18 05:00:00

나무 건강성 위해 야간 조명은 6시간보다 짧게 해야 가로수 야간 LED 조명.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식물원, 캠핑장 및 도심지 내 나무에 설치된 야간 조명이 나무에 빛 공해로 작용할 수 있어, 나무의 정상적인 생육을 위해 야간에는 6시간 이하로 조명을 켜야한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낮에 광합성 작용을 통해 식물 체내에 탄소를 축적하고, 밤에는 호흡작용을 통해 축적된 탄소를 이산화탄소로 배출한다. 따라서 나무에 설치된 조명 빛에 의해 교란된 호흡량 증가는 나무 생장량 및 탄소 저장량을 감소시켜 나무 건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는 나무에 대한 빛 공해 피해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소나무, 왕벚나무, 은행나무에 엘이디(LED) 장식 전구를 설치하였고, 각 나무를 6시간(18시∼24시) 또는 12시간(18시∼다음날 6시) 동안 조명에 노출 시킨 후 여름과 겨울에 야간 호흡량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6시간 동안 조명에 노출된 소나무와 조명에 노출되지 않은 소나무의 야간 호흡량은 계절과 관계없이 유사했다.

그러나 12시간 동안 조명에 노출된 소나무는 노출 6시간 후 야간 호흡량이 증가했는데, 여름에 3.2배, 겨울에 1.3배가 증가했다.

여름철 활엽수도 마찬가지로 6시간 동안 조명에 노출된 나무의 야간 호흡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12시간 동안 조명에 노출된 나무의 야간 호흡량은 노출 6시간 후 왕벚나무는 2.2배, 은행나무는 4배 증가했다.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이임균 과장은 “빛 공해는 나무의 종류에 상관없이 영향을 미치며, 도시에서 자연과 공생을 위하여 겨울철 낙엽 여부와 관계없이 조명을 켜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