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조리식품 시장 규모 ‘2조 118억원’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1-21 06:00:00
2021 가공식품 세분 시장현황 보고서 발간
즉석조리식품의 시장 규모가 14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즉석조리식품에 대한 2021년 세분 시장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즉석조리식품의 생산 및 출하, 수출, 유통 및 판매 현황,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소비 경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2020년 출하액 기준 즉석조리식품의 국내 시장 규모는 2조 1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7%, 2016년 대비 145.3% 증가했다. 즉석조리식품 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 요인은 편의점 확대, 품질향상, 코로나19로 인한 집밥 수요 증가, 가정 내 에어프라이어 보급률 증가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즉석조리식품의 소비 경향 및 시장 전망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온라인 소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가 즉석밥(82.8%), 카레/짜장/덮밥소스류(77.4%), 국/탕 찌개류(75.6%)를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구입이 증가했다고 인식하고 있는 즉석조리식품은 간편조리세트(밀키트)(66.0%), 국/탕/찌개류(54.2%), 즉석밥(42.5%)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즉석조리식품 수출액은 3,493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1%, 2016년 대비 323.1% 증가하였고, 수출물량도 1만 3,563톤으로 전년 대비 20.0%, 2016년 대비 390.7% 증가했다.
특히 즉석조리식품의 대표 식품인 즉석밥(2020년 수출액 전년 대비 53.3% 증가)과 떡볶이(56.7% 증가)의 수출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최근 해외 시장에서 온라인 영상 콘텐츠를 통한 한국 음식문화의 노출이 증가하고 있고,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먹방 영상이 인기를 끌며 직접 먹어보려는 사람이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떡볶이는 세계적 인기의 케이팝 그룹을 통해 소개되며 수출 증가 추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즉석조리식품 생산 및 유통 판매 현황, 소비 특성 등에 대한 정보는 식품산업통계정보 누리집(http://www.aTFIS.or.kr)에 게재된 ‘2021 가공식품 세분 시장현황(즉석조리식품)’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