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동 무·배추’ 비닐 부직포로 보온 필수
농축환경신문
webmaster@nonguptimes.com | 2022-01-03 03:25:00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올겨울 이상 한파에 대비해 노지에서 겨울을 나는 월동 무와 배추의 언 피해 예방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월동 무 배추는 제주와 해남이 주산지로, 추위를 견디며 당분 축적 등으로 맛이 좋아져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무?배추는 비교적 저온에 잘 견디는 작물이지만, 무는 영하 0.5도(℃) 이하로 내려가면 뿌리 내부 어린 조직의 손상으로 호흡이 증가해 식감이 푸석푸석하게 된다. 배추는 영하 7도(℃) 이하에서 뿌리 내부가 얼고 결구(속들이)가 안 되며 크기가 작아지는 언 피해가 발생한다.
갑작스러운 한파가 닥쳤을 때 월동 무 배추의 언 피해를 예방하려면 비닐, 부직포를 이용해 막 덮기(피복 처리)를 해야 한다. 막 덮기는 무 배추 위에 지주대 없이 비닐(PE)과 부직포를 덮는 것으로, 비닐만 덮는 것보다 비닐과 부직포를 함께 덮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비닐과 부직포를 같이 덮었을 때는 아무것도 덮지 않았을 때보다 평균 온도 하강 폭을 10도(℃) 이상 줄일 수 있다. 언 피해 온도까지 떨어지는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다만, 한파가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는 무?배추를 미리 수확해 임시 저장해야 한다.
무는 0도(℃) 내외일 때 비닐, 짚, 부직포 등을 덮어주고, 영하 2도(℃)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는 수확하여 임시 저장한다.
배추는 0도(℃)~영하 8도(℃)까지는 비닐, 부직포, 짚 등을 덮어주고, 영하 8도(℃)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면 수확해 임시 저장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이우문 과장은 “2020년 1월 남부지방 한파로 무 배추의 언 피해가 발생했던 만큼 농가에서는 막 덮기 등 철저한 관리로 피해를 예방하기 바란다.”며 “한파 등 재해에 강한 내재해성 무 배추 품종 육성하는 한편, 저온에서 작물 생장을 촉진하거나 스트레스를 견디게 돕는 생리활성물질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