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산업용 미생물 ‘농업미생물은행’이 함께 지킨다
김경수 기자
kyungsuk@nonguptimes.com | 2025-09-17 16:29:21
산업미생물 안전중복보존 확대, 산업용 미생물 유실 방지
[농축환경신문]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국립농업과학원은 9월 17일 농업생물부에서 국순당(대표이사 배상민)과 산업미생물 안전중복보존 업무협약을 맺고, 국가 미생물 장기 안전중복보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국순당은 전통주 제조에 사용되는 핵심 미생물을 농업미생물은행에 안전하게 중복보존하게 됐다.
농업미생물은행은 기탁된 미생물을 액체질소보존법과 초저온보존법으로 보존하게 된다. 영하 196도를 유지하는 액화질소 냉동고는 권한을 가진 기탁 기관의 작업자만 접근할 수 있고, 입출고 내용도 모두 기록된다. 초저온 냉동고도 두 개의 잠금장치를 설치해 보안을 유지하고, 기탁자와 농업미생물은행 담당자가 함께 열어야 해당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보존된 미생물 정보는 공개되지 않으며, 기탁 기관의 동의 없이 누구도 접근할 수 없다. 보존 기간은 최초 5년 이하며, 5년 단위로 연장할 수 있다. 기업이 중복보존을 취소하지 않으면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농업생물부 방혜선 부장은 “기업에서 산업용으로 이용하는 미생물도 국가의 소중한 생명 자원이다.”라며, “이들을 자체적으로 관리하면 자연재해 등으로 유실 우려가 있으므로 만일을 대비해 국가 보안 시설에서 장기간 안전하게 보존하는 서비스를 적극 이용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국순당 신우창 연구소장은 “전통주 맛과 향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인 미생물을 농업미생물은행에 중복보존함으로써 미생물 보존 부담을 덜고 고품질 전통주 개발에 매진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국가 미생물 장기 안전중복보존 서비스는 기업, 연구소, 대학이 보유한 산업용, 연구용, 교육용 미생물 자원이 유실되지 않도록 국가가 맡아 장기간 안전하게 중복보존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 사업’의 하나로 2021년부터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은행(KACC)이 수행한다.
현재 ㈜샘표식품의 장류 제조 미생물, ㈜종근당건강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경농의 비료, 농약용 미생물 등 다양한 산업용 미생물이 국가 미생물 장기 안전중복보존 서비스를 통해 중복보존 관리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은행(063-238-3034)으로 문의하면 서비스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