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퇴비 부숙 정도를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감지기(센서) 기반 측정장치를 개발하고. 부숙도 판정범위를 설정했다.
현재 비료공정규격에서 제시하는 부숙도 측정법은 생물학적 측정법(종자 발아)과 기계적 측정법(콤백, 솔비타)이 있다. 생물학적 측정법은 5일 이상, 기계적 측정법은 1회 기준 2.5~4시간이 걸린다.
이번에 개발한 장치를 사용하면 1회 측정에 40분 정도가 필요하다. 기존 측정법을 사용했을 때보다 약 4~6배 정도 시간이 단축돼 현장에서 빠르게 부숙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측정법은 시료를 부피 기준으로 투입해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새로 개발한 장치는 시료를 무게 기준으로 투입하기 때문에 측정자 사이의 시료량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새로 설정한 부숙도 판정범위는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 발생량을 5단계로 구분했다. 퇴비 1,000여 점을 기존의 기계적 측정법으로, 측정해 새로 개발한 측정장치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부숙 단계별 기체 발생량 범위를 설정했다.
부숙도 측정장치와 판정범위는 올해 신기술 시범사업으로, 전국 11개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검증하고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현병근 과장은 “앞으로 축산 농가 퇴비 부숙도 측정 의무화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부숙도 측정 데이터베이스 분석으로 판정범위를 보완할 것이다.”며, “이를 통해 사용자 편리성과 정확도를 높이고, 신규 비료공정규격 설정 등 관련 부서와 협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축환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